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섬망과 약물 - 항콜린제, 벤조디아제핀, 마약성 진통제

by goodjudy 2024. 5. 29.
반응형

 

섬망 발생 위험을 높은 약물

 

섬망은 주로 노인 환자들에게 발생하는 일시적인 정신 상태 변화로, 혼란, 주의력 저하, 환각 등이 특징입니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특정 약물이 섬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섬망 발생 위험이 높은 약물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항콜린제

 

항콜린제는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로, 다양한 의학적 용도로 사용됩니다. 아세틸콜린은 주로 부교감신경계에서 작용하며, 근육 수축, 심박수 조절, 소화기계 기능 조절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항콜린제는 섬망을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약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항콜린제가 뇌의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세틸콜린은 뇌의 신경전달물질로, 주의력, 기억력, 학습능력 등 인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세틸콜린의 부족은 이러한 인지 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주의력과 지남력이 저하되고, 혼란 상태에 빠지며, 심한 경우 섬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인 환자는 항콜린제의 영향을 더욱 민감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노화로 인해 뇌의 아세틸콜린 수용체 수가 감소하고, 약물 대사와 배설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령 환자에게 항콜린제를 투여할 경우 섬망 발생 위험이 더욱 높아집니다. 노인 환자들의 경우 다약제 사용(polypharmacy)이 흔하기 때문에 약물 상호작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높습니다.

 

2. 벤조디아제핀

 

벤조디아제핀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 Gamma-Aminobutyric Acid)의 작용을 강화하여 중추 신경계를 억제합니다. 가바는 주로 신경 세포 간의 흥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벤조디아제핀은 가바 수용체에 결합하여 그 작용을 증강시킵니다. 이를 통해 신경 활동이 억제되고 진정, 항불안, 항경련 효과가 나타납니다.

 

벤조디아제핀은 중추 신경계를 억제하는 효과가 강력합니다. 이는 환자를 진정시키고 불안을 완화시키는 데 유용하지만, 진정 효과가 강력하기 때문에 성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억제가 과도할 경우에는 뇌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주의력, 지남력,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섬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벤조디아제핀의 섬망 유발 가능성은 투여 용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고용량의 벤조디아제핀은 중추 신경계 억제를 강화하여 섬망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장기 사용 시 약물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며, 갑작스러운 중단은 금단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금단 증상 역시 섬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역시 다른 약물들과 마찬가지로 중추 신경계를 강력하게 억제하여 진정 및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냅니다. 특히 노인 환자나 신체적으로 취약한 환자에게서 그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호흡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어, 고용량 사용 시 호흡이 느려지거나 멈출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저산소증이 발생하면,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뇌 기능이 저하되고 섬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나 호흡 기능이 약한 환자들에게서 이러한 위험이 높습니다.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는 다른 중추 신경계 억제제와 함께 사용될 때, 섬망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벤조디아제핀, 항우울제,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복용하면 중추 신경계에 대한 억제 효과가 증폭되어 섬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을 처방할 때는 환자의 연령, 건강 상태, 기존 복용 중인 약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특히 노인 환자나 신체적으로 취약한 환자에게는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용량만을 사용해야 합니다. 환자의 통증 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신중한 처방과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 비약물적 통증 관리 방법의 병행 등을 통해 섬망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